월세와 보증금 각각 5% 인상 가능할까? [전월세상한제 5% 계산법]
2024. 4. 13. 16:10ㆍ부동산정보
반응형
전세사는 사람들이야 전세보증금에 5%올리는건 이해되는데 월세사는 사람들은 보증금도 5%올리고 월세도 5%올리면 불합리한 것아닌가 생각들지 않나요? 그러면 보증금과 월세 각각 5%씩 올리는게 가능할까요?
가능합니다. 그러나 주택임대차보호법상의 전월세상한율 5%에 적용되는 계산법은 전월세 전환율을 적용합니다.
임대차보호법에서 5%이상 차임이나 보증금의 증액을 못 하도록 제한을 하는것은 많이들 알고계십니다. 그러나 5%증액 계산법에 대해 잘못알고 계신분들이 많습니다.
보증금 2000만원에 80만원인 주택을 예로 들어보겠습니다. 그리고 현재 부산의 종합적인 전월세 전환률은 6.1%이므로 전월세 전환률은 6%로 가정하겠습니다.
그러면 보증금 2000만원에 월세80만원 조건인 이 주택은 2000만원 + (80만원x12÷6%) 이니까 1억8000만원의 전세와 같습니다. 여기서 5%를 올린다면 1억8900만원입니다. 이를 다시 월세로 바꾸면 (1억8900만원-2000만원) × 6% 에 12개월을 나누면 845,000원이 나옵니다. 즉, 보증금 2000만원에 월세 80만원인 주택에서 보증금은 그대로 두고 월세만 주택임대차보호법을 적용해서 5%올린다고 가정했을때월세84만원이 아니라 월세84만5천원이 됩니다.
물론 보증금을 올리는 방법도 가능합니다. 보증금을 3000만원으로 올린다고 가정하면 (1억8900만원-3000만원) × 6% 에 12개월을 나누면 795,000원이 됩니다. 즉 전월세5%상한요율을 적용해서 보증금을 3000만원으로 올리면 월세는 75만원이 되야할 것입니다. 보증금 2500에 월세 82만원으로 각각 올리는 방법도 있겠죠.
너무 복잡한거 같나요? 사실 이러한 계산법 정확히 몰라도 됩니다. 임대인이 5% 범위내에서 보증금과 월세를 올린다고 요구를 하더라도 임차인이 무조건 요구에 응할 의무는 없기 때문입니다. 어차피 결국은 임대인과 임차인의 협의를 통해서 보증금과 월세가 결정됩니다. 그래도 임대인 측에서 법적으로 요구할 수 있는 최대한의 상한선은 알아두면 좋으니까 한번 계산해보세요~
반응형
'부동산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부동산 계약시 필요서류 [완벽 정리] (0) | 2024.04.18 |
---|---|
1년 계약하고 4년 살기.. 어쩔껀데? 니가 뭘 할 수있는데?[주택임대차보호법][임대차3법 악법][계약갱신청구권][전세값폭등] (0) | 2024.04.16 |
[영도 아파트 분석] 청학우성스마트시티뷰 (feat. 영도 토박이 공인중개사 제영부동산) (0) | 2024.03.31 |
청년주택드림 청약통장 필요서류(그냥 보고 따라하면됨) (1) | 2024.03.22 |
건물주가 월세 올려달라 할때 대처방법 (0) | 2023.09.26 |